MVC 패턴의 동작 원리


커맨드 패턴(Command pattern)이란 요청을 객체의 형태로 캡슐화하여 사용자가 보낸 요청을 나중에 이용할 수 있도록 매서드 이름, 매개변수 등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또는 로깅, 취소할 수 있게 하는 패턴이다.

커맨드 패턴에는 명령(command), 수신자(receiver), 발동자(invoker), 클라이언트(client)의 네개의 용어가 항상 따른다. 커맨드 객체는 수신자 객체를 가지고 있으며, 수신자의 메서드를 호출하고, 이에 수신자는 자신에게 정의된 메서드를 수행한다. 커맨드 객체는 별도로 발동자 객체에 전달되어 명령을 발동하게 한다. 발동자 객체는 필요에 따라 명령 발동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한 발동자 객체에 다수의 커맨드 객체가 전달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객체는 발동자 객체와 하나 이상의 커맨드 객체를 보유한다. 클라이언트 객체는 어느 시점에서 어떤 명령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명령을 수행하려면, 클라이언트 객체는 발동자 객체로 커맨드 객체를 전달한다.




Action(interface)            [[서블릿은.. 요청이 온 uri를 ActionFactory 객체의 getAction에 넣고 리턴 되는 객체의 execute()를 단지 실행 ]]

-execute()


BoardListAction (Action구현체)

-execute()를 구현 -> 게시물리스트를 보기 위해 어떤 로직을 처리하고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어디로 가야 할지를 구현


BoardViewAction (Action구현체)

-execute()를 구현 -> 게시물 상세보기를 위해서 어떤 로직을 처리하고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어디로 가야할지를 구현


ActionFactory

-getAction(String command) -> command에 적합한 Action구현 클래스 객체를 만들어주는 아이



' IOT 기반 응용 SW과정 > Web Progra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49 Spring Framework  (0) 2016.05.26
Day48 DB / Spring Framwork  (0) 2016.05.25
Day46 자바스크립트  (0) 2016.05.24
Day45 데이터베이스와 JDBC  (0) 2016.05.20
Day44 JSTL  (0) 2016.05.19

+ Recent posts